증여 후 10년 이내 사망하면? 배우자와 부모님 이월과세 규정이 다르다!

📖 사례 1: 배우자가 증여 후 10년 만에 사망한 경우

* 2025년: 남편이 아내에게 아파트를 증여함
* 2028년: 남편이 사망
* 2032년: 아내가 아파트를 매도

🔎 결과:

  • 이월과세가 적용되지 않음 
  • 즉, 세금 계산 시 아내가 받은 시점의 취득가액을 기준으로 양도세를 계산
  • 세금 부담이 크지 않음 🎉


📖 사례 2: 부모님이 증여 후 5년 만에 사망한 경우

* 2025년: 아버지가 자녀에게 주택을 증여함
* 2028년: 아버지가 사망
* 2032년: 자녀가 주택을 매도

🔎 결과:

  • 이월과세 적용됨 
  • 즉, 세금 계산 시 아버지가 처음 주택을 샀을 때의 취득가액을 기준으로 양도세를 계산
  • 양도세 부담 증가 ⚠️



📌 정리하면?
💡 배우자가 증여한 경우 → 사망 시 이월과세 적용 X (세금 부담 적음)
💡 부모님이 증여한 경우 → 사망해도 이월과세 적용 O (세금 부담 증가)

같은 증여라도 배우자와 부모님의 차이를 꼭 기억하세요! 🤔



1:1 문의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