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을 직원으로 고용했을 때, 자주 묻는 질문 총정리!


가족과 함께 일하는 분들이 가장 궁금해하시는 점과 주의해야 할 점을 모았어요 😊


🚨 가족 인건비 주의사항 요약


  • 유령 직원 채용은 NO! 🙅🏻‍♀
  • 국민연금, 건강보험 꼭 가입하기
  • 인건비 꼭 신고하기 (미신고 시 비용 인정 ❌)
  • 급여는 근로자 명의 통장으로 계좌이체
    (타인 명의 계좌로 이체하거나 현금으로 지급하는 것은 위험해요 🚨)

모바일에서는 표를 좌우로 스크롤하실 수 있어요 😃

더욱 자세한 내용은 아래 글을 참고해주세요 💁🏻‍♀️




인건비에 대해 더 알고 싶어요!

💡 가족에게 지급한 인건비도 비용으로 인정되나요?

네, 비용으로 인정돼요 ⭕

다른 직원과 마찬가지로 인건비를 신고하고 원천세를 납부하시면 돼요.

단, 동일한 업무나 직급에 있는 다른 직원과 급여가 너무 차이 나면 안 돼요 🙅🏻‍♀️


💡 급여를 현금으로 주면 안 돼요?

현금 지급, 타인 명의 계좌 이체는 안 돼요 ❌

인건비 신고 내역과 일치하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근로자 명의 통장에 계좌이체해서 꼭 내역을 남겨주세요.

부득이하게 현금으로 지급하거나, 직원의 요청으로 다른 사람 계좌에 이체하실 때는 근로자와 협의했음을 확인할 수 있는 동의서, 현금 수령 확인서 등을 작성하고 서명을 받아두세요.


💡 실제로 일은 안 하는데 급여만 줘도 될까요?

허위 직원 등록, 당연히 안 돼요 ❌

인건비 신고는 제대로 할지라도 실제로 근로하지 않는 사람에게 급여를 지급한다면, 세금을 줄이기 위해 가짜 경비를 반영하는 탈세 행위에 해당해요. 

당장은 문제가 없을지 몰라도 5년 이내 세무조사를 받을 가능성이 높아요.

가짜 직원임이 밝혀지면 그동안의 세금 신고를 모두 다시 해야 하는 것은 물론이고, 어마어마한 가산세를 낼 수 있어요! 😱


💡 가족을 채용했는데 4대보험 가입 대상인가요?

국민연금, 건강보험은 가입해야 해요. (3.3% 프리랜서 사업소득자는 예외)

직장가입자로 가입하더라도 인건비를 제대로 신고하지 않으면 지역가입자로 전환될 수 있으니 주의하세요!


고용보험, 산재보험은 대표자와의 관계, 동거 여부에 따라 달라져요.

친족은 8촌 이내 혈족, 4촌 이내 인척 및 배우자를 말해요.

동거 여부는 주민등록등본 등의 서류를 통해 판단해요.

대표자와의 관계고용보험·산재보험
배우자무조건 미적용
배우자 외 친족(형제, 자매, 자녀 등)비동거 시 가입 가능


💡 가족을 고용했을 때 따로 챙길 자료가 있나요?

일반 근로자와 동일하게 실제 근로 사실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를 보관하시면 돼요.

*근로계약서, 근무일지, 근로소득원천징수영수증, 급여 계좌이체 내역, 사회보험 가입 내역 및 보험료 납부 내역 등


💡 직원이 가족이어도 지원금을 받을 수 있나요?

네 ⭕ 근로자성을 인정받고 고용보험, 산재보험 가입이 가능하다면 두루누리 지원금을 받을 수 있어요.

근로자성은 가족이 아닌 일반 근로자와 근로 및 급여 조건이 비슷할 때 인정돼요.

두루누리 지원금






#가족직원 #가족고용 #가족채용 #가족인건비 #가족채용시지원금 #특수관계자채용 #유령직원 #4대보험 #사회보험 #두루누리지원금 #일자리안정자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