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 미디어 창작자(유튜버) 자주 묻는 질문


💡 유튜버도 사업자 등록을 해야 하나요?

일회성이 아니라 계속적·반복적으로 영상 콘텐츠를 생산하고 이에 따른 수익이 발생한다면 사업자 등록을 하셔야 해요.

사업자 등록을 하실 때는 본인 신분증, 사업자 등록 신청서가 필요해요.

사업장을 빌리셨다면 임대차 계약서도 준비해주세요 🙆🏻‍♀️


💡 유튜브 수익은 과세인가요 면세인가요? 어떤 차이가 있나요?

과세인지 면세인지는 고용 관계와 물적 시설 유무에 따라 달라져요.


과세사업자면세사업자
업종미디어 콘텐츠 창작업
(업종코드 921505)
1인 미디어 콘텐츠 창작자
(업종코드 940306)
고용 관계

시나리오 작가, 편집자 등 고용 인력 있음
고용 인력 없음
물적 시설
전문 촬영 장비, 방송용 스튜디오 등
별도의 물적 시설 갖춤 (빌리는 것 포함)
별도의 물적 시설 없음
세금 신고
종합소득세, 부가가치세
종합소득세, 사업장현황신고

모바일에서는 표를 좌우로 스크롤하실 수 있어요 😃


💡 유튜버도 세금을 낮출 방법이 있나요?

1인 미디어 사업자도 절세할 방법이 있어요.

유튜버는 비용으로 처리할 수 있는 분야가 다양하거든요.

예를 들어 메이크업 관련 영상을 찍는다면 화장품, 화장 도구, 의상 등의 구입 비용을 사업 경비로 반영할 수 있어요.

먹방 콘텐츠를 만드신다면 식료품 등 음식 구입 비용, 건강 유지 비용 등을 반영할 수 있어요.


증빙을 잘 갖춘다면 기본적으로 방송을 제작하는 데 드는 비용은 대부분 반영할 수 있어요.

일일이 챙기기 번거롭다면 홈택스에 사업용 카드를 등록하고, 사업적으로 지출하실 때 카드로 결제하는 방법이 가장 간편해요.

홈택스에 사업용 카드 등록하기


*가사경비 등 개인 생활비 또는 자기만족을 위해 사용한 비용은 콘텐츠 제작 비용으로 보기 어려워요.
비용 처리에 대해 모호한 부분이 있다면 세무대리인과 상담하시는 것을 추천드려요.






#유튜버수익 #유튜브수익 #유튜버과세면세 #유튜버세금신고 #크리에이터 #인플루언서 #1인방송 #1인미디어사업자 #youtuber #유튜버사업자등록 #유튜버절세 #유튜버비용처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