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만 원 결제하시면 33만 원 충전해드려요"
"10회 수강권 구입하시면 1회는 무료예요"
"미리 결제하시면 적립했다가 오실 때마다 차감해드릴게요"
미용실이나 마사지샵에서 특히 많이 들을 수 있는 말인데요.
선결제(선불 충전) 시스템은 소비자 입장에서도 편하고 사업주도 단골 확보에 도움이 되기 때문에 카페, 와인바, 헬스클럽, 필라테스 스튜디오 등 점점 다양한 곳에서 활용되고 있어요.
그런데 미리 결제한 금액은 언제 어떻게 매출로 신고해야 할까요?
오늘은 선결제 금액의 매출 인식 시기, 주의해야 할 점을 알려드릴게요 🙂
우선 매출 인식 시기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어요.
첫째, 선결제(충전) 시점에 선결제 금액 전부를 매출로 인식한다. 둘째, 서비스 이용 시점에 실제 사용 금액만 매출로 인식한다.
|
일반적으로는 첫 번째 방법을 권해드리는데, 이유는 아래에서 확인하실 수 있어요.
💡 선결제 시점에 전액 매출로 인식하려면?

① 소비자가 카드로 결제하거나
② 현금 결제 후(계좌이체 포함) 전체 금액에 대해 세금계산서 또는 현금영수증을 발행한다면
국세청에 자료가 전송되어 모두 매출로 인식돼요.
매출 인식 시기는 카드 결제 시점 또는 세금계산서 발행 시점이고요.
세법에도 대가를 먼저 받고 증빙을 발행하면, 증빙 발행 시점을 공급시기로 본다는 내용이 있어요.
부가가치세법 제17조 1항
✅ 선결제 시점에 매출로 인식하면 어떤 점이 좋은가요?
대금을 수령할 때 한 번만 증빙에 신경쓰면 되니까 편해요.
💡 서비스 이용 시점에 매출로 인식하려면?

선결제 시점에는 매출로 인식하지 않고, 실제로 서비스를 이용할 때 해당 금액에 대해서만 세금계산서나 현금영수증을 발행하는 식으로 매출을 인식해요.
주로 적립금 형식으로 관리하다가 그때그때 차감되는 금액만큼 증빙을 발행해요.
✅ 실제 사용 시점에 매출로 인식하면 어떤 점에 유의해야 하나요?
자료불부합으로 국세청으로부터 소명 요청을 받을 수도 있어요.
카드 선결제 시 국세청에 매출 자료가 전송되는데, 해당 금액을 매출로 신고하지 않으면 탈세 시도로 보일 수 있거든요.
계좌이체로 돈을 받은 경우에도 입금 내역과 신고된 매출이 다르기 때문에 마찬가지로 국세청이 유심히 볼 만한 이유가 되고요.
이런 위험을 감수하더라도 실제 사용 시점에 매출로 인식하시려면 선결제 시점에는 현금으로 받고 증빙은 실제 사용 시점에 발행하는 방법을 고려해볼 수 있어요.
하지만 가능하다면 선결제 시점에 전액 매출로 인식하는 첫 번째 방법을 권해드려요!
매출 인식 시기에 대해 어느 정도 감이 잡히셨을까요?
비슷한 내용으로 선결제 시 매입 인식 시기가 궁금하시다면 아래 링크를 클릭해보세요!
선결제 광고비는 언제 비용으로 인식되나요?
#선결제매출인식 #선수금매출신고 #선불매출인식시기 #정액권매출신고 #미용실회원권 #자료불부합
"30만 원 결제하시면 33만 원 충전해드려요"
"10회 수강권 구입하시면 1회는 무료예요"
"미리 결제하시면 적립했다가 오실 때마다 차감해드릴게요"
미용실이나 마사지샵에서 특히 많이 들을 수 있는 말인데요.
선결제(선불 충전) 시스템은 소비자 입장에서도 편하고 사업주도 단골 확보에 도움이 되기 때문에 카페, 와인바, 헬스클럽, 필라테스 스튜디오 등 점점 다양한 곳에서 활용되고 있어요.
그런데 미리 결제한 금액은 언제 어떻게 매출로 신고해야 할까요?
오늘은 선결제 금액의 매출 인식 시기, 주의해야 할 점을 알려드릴게요 🙂
우선 매출 인식 시기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어요.
첫째, 선결제(충전) 시점에 선결제 금액 전부를 매출로 인식한다.
둘째, 서비스 이용 시점에 실제 사용 금액만 매출로 인식한다.
일반적으로는 첫 번째 방법을 권해드리는데, 이유는 아래에서 확인하실 수 있어요.
💡 선결제 시점에 전액 매출로 인식하려면?
① 소비자가 카드로 결제하거나
② 현금 결제 후(계좌이체 포함) 전체 금액에 대해 세금계산서 또는 현금영수증을 발행한다면
국세청에 자료가 전송되어 모두 매출로 인식돼요.
매출 인식 시기는 카드 결제 시점 또는 세금계산서 발행 시점이고요.
세법에도 대가를 먼저 받고 증빙을 발행하면, 증빙 발행 시점을 공급시기로 본다는 내용이 있어요.
부가가치세법 제17조 1항
✅ 선결제 시점에 매출로 인식하면 어떤 점이 좋은가요?
대금을 수령할 때 한 번만 증빙에 신경쓰면 되니까 편해요.
💡 서비스 이용 시점에 매출로 인식하려면?
선결제 시점에는 매출로 인식하지 않고, 실제로 서비스를 이용할 때 해당 금액에 대해서만 세금계산서나 현금영수증을 발행하는 식으로 매출을 인식해요.
주로 적립금 형식으로 관리하다가 그때그때 차감되는 금액만큼 증빙을 발행해요.
✅ 실제 사용 시점에 매출로 인식하면 어떤 점에 유의해야 하나요?
자료불부합으로 국세청으로부터 소명 요청을 받을 수도 있어요.
카드 선결제 시 국세청에 매출 자료가 전송되는데, 해당 금액을 매출로 신고하지 않으면 탈세 시도로 보일 수 있거든요.
계좌이체로 돈을 받은 경우에도 입금 내역과 신고된 매출이 다르기 때문에 마찬가지로 국세청이 유심히 볼 만한 이유가 되고요.
이런 위험을 감수하더라도 실제 사용 시점에 매출로 인식하시려면 선결제 시점에는 현금으로 받고 증빙은 실제 사용 시점에 발행하는 방법을 고려해볼 수 있어요.
하지만 가능하다면 선결제 시점에 전액 매출로 인식하는 첫 번째 방법을 권해드려요!
매출 인식 시기에 대해 어느 정도 감이 잡히셨을까요?
비슷한 내용으로 선결제 시 매입 인식 시기가 궁금하시다면 아래 링크를 클릭해보세요!
선결제 광고비는 언제 비용으로 인식되나요?
#선결제매출인식 #선수금매출신고 #선불매출인식시기 #정액권매출신고 #미용실회원권 #자료불부합